종이통장 그 다음은 종이화폐가 사라질 것이다.
2017년 9월부터 은행에서 계좌를 만들 때 종이 통장이 발급되지 않는다. 인터넷·모바일뱅킹 확산으로 통장 필요성이 크게 줄었다고 판단해서다. 1897년 국내 첫 상업은행인 한성은행이 생긴 이래 사용된 종이 통장이 120년만에 없어진다는 얘기다.
금융감독원은 29일 이런 내용의 무통장 금융거래 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올해 9월부터 5년간 종이통장 발행을 단계적으로 폐지한다. 박세춘 금감원 부원장은 “일단 은행에 적용한 뒤 증권·보험과 같은 다른 금융권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우선 향후 2년간(올해 9월~2017년 8월) 소비자가 은행에서 신규 계좌를 개설할 때 종이통장 대신 전자통장·예금증서를 선택할 경우 ▶금리 우대 ▶수수료 경감 ▶경품 제공과 같은 혜택을 준다. 전자통장은 체크카드의 집적회로(IC) 칩에 통장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이고, 예금증서는 계좌번호·예금자명·은행직인이 찍힌 한 장짜리 확인서다.
이후 3년간(2017년 9월~2020년 8월)은 60세 이상 장년층이 아니면 원칙적으로 종이통장을 발행하지 않는다. 60세 미만은 계좌 개설 때 따로 신청해야 종이 통장을 발급받을 수 있다. 2020년 9월부터는 종이 통장을 받으려면 발행 비용의 일부를 수수료로 내야 한다. 금감원이 종이 통장을 없애려는 이유는 비용에 비해 효과가 떨어진다고 판단해서다.
올해 3월말 기준 은행 수시입출금 통장 중 46.2%가 1년 이상 입출금이 전혀 없고 잔액이 10만원 미만인 사실상의 휴면계좌다. 반면 소비자가 통장분실·인감변경과 같은 이유로 내야 하는 통장 재발행 수수료(건당 평균 2000원)는 연간 60억원이나 된다. 은행도 손해다. 수수료만으로는 인건비를 포함해 5000~1만8000원인 통장 발행 원가를 감당할 수 없어서다. 통장을 없애면 인감·서명 도용이나 대포통장 사용과 같은 범죄도 줄일 수 있다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120세 종이통장 … 2017년 사라진다.”, 중앙일보)
* 지금까지 100여년 넘게 은행거래의 기반이 되었던 ‘종이통장’이 사라지고, 2017년부터는 ‘전자통장’의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한다. 발행과 관리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고 인감이나 서명의 도용을 통해 대포통장과 같은 범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종이통장’을 없애고 컴퓨터가 관리하는 ‘전자통장’을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이처럼 정부가 각종 편리함과 안전을 내세워 ‘전자통장’ 도입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있지만, 사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자통장은 해킹범죄에 취약할 수밖에 없고, 또 통장을 발행하는 주체가 의도적으로 은행거래 내용을 삭제할 경우 거래자는 이에 대응할 마땅한 방법이 없게 된다.
2008년에 개봉한 헐리웃 영화 ‘이글아이’에서는 ‘이글아이(호루스의 눈?)’라고 하는 슈퍼컴퓨터가 자신이 지목한 대상자의 신분과 은행거래 내용을 조작하여 선량한 시민을 하루아침에 테러범으로 만드는 장면이 등장한다.
‘전자통장’이란 그야말로 컴퓨터에 담겨진 기록인데 이 기록은 언제든지 컴퓨터를 통제하는 세력에 의해 (의도적으로) 첨삭될 수 있는 것이다.
인터넷을 관장하는 슈퍼컴퓨터 이글아이(전시안?)가 자신이 지목한 대상자의 신분과 은행거래 내용을 조작하여 선량한 시민을 하루아침에 테러범으로 만드는 장면이 등장하는 헐리웃 영화 이글아이
각종 편리함을 내세워 도입을 서두르고 있는 ‘전자통장’의 이면에 '컴퓨터를 통한 완벽한 통제 사회 구축'이라고 하는 세계정부주의자들의 어젠더가 있음을 알아야 한다.
개개인이 소지하던 ‘종이통장’이 컴퓨터가 관리하는 ‘전자통장’으로, 또 개개인이 소지하던 ‘종이화폐’가 컴퓨터가 관리하는 ‘전자화폐’로 바뀌어지는 순간부터 개개인의 '경제주권'도 이를 관리하는 컴퓨터에 이양되는 것이다.
666 컴퓨터를 통제하는 세력에게 밉보이면 ‘전자통장’에 있던 모든 입금기록들이 사라지고 하루아침에 알거지가 될 수 있는 세상이 곧 온다는 뜻이다.
- 예레미야 -
[출처] 종이통장 그 다음은 종이화폐가 사라질 것이다. |작성자 예레미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