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행성이 지구를 위협한다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유럽이 계획을 시작하다.

2015. 1. 26. 22:23자연재해와 전염병


 

 


소행성이 지구를 위협한다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유럽이 계획을 시작하다.


2015 1 13

 

CBS News

http://www.cbsnews.com/news/what-can-we-do-if-an-asteroid-threatens-earth-europe-starts-planning/

 

 

 

 우주 암석이 지구를 위협할 때, 인류는 무엇을 해야만 하나? 그런 위험이 실제로 구체화되기 전에 효과적인 대응 절차들을 만들 목적으로, 최근 유럽의 정부 관계자들이 그런 시나리오에 대비하는 가능한 방법들을 모색하려고 2일간 시간을 보냈다.

 

 그런 종류로는 처음 시행하는 시뮬레이션(모의실험)에서, 만일 2013 2월 러시아 상공에서 폭발했던 운석(대략 19미터 크기)과 비슷하거나 규모가 더 큰 소행성이 지구에 근접한다면, 무엇을 할 것인지 검토했다. 정부 관계자들은 잠재적 충돌가능 30일 전부터 1시간 전까지의 기간에 걸쳐 가능한 활동들에 초점을 맞추었다.

 

 

 

 

* 러시아 운석충돌 사진

 

 "소행성 충돌의 영향 및 피해를 예측하는데 고려해야 할 수많은 변수들이 있으며, 그런 변수들이 이런 종류의 시뮬레이션을 매우 복잡하게 만듭니다." 유럽우주기구 우주상황인식사무국 근지구 물체 활동팀장Detlef Koschny는 성명서에서 말했다. [잠재적으로 위험한 소행성 (이미지) 하단]

 

 * 유럽우주기구 (European Space Agency) : 유럽 각국의 우주개발 계획을 단일화해 효율적으로 우주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기구로, 미국의 항공우주국(NASA)과 같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 변수들은 크기, 질량, 속도, 구성성분, 충돌 각도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라고 그는 덧붙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변수들이 유럽의 국가행정당국이 취할 수 있는 종합적인 일련의 대책을 개발하는데 지장을 주어서는 안되며, (일련의 대책은) 여러 가능한 충돌 영향들을 포함할 정도의 전반적인 대책이 될 수 있습니다.

 

 2013년 러시아의 운석 폭발은 첼야빈스크 도시 상공에서 발생하였는데, 소행성의 위협을 일반인이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왔다. 운석의 공중 폭발로 발생한 충격파는 1,500명을 다치게 하였고, 대부분은 창문들이 산산조각 난 후 날아 흩어진 유리 파편들로 베인 부상이었다.

 

 작년 11월에 실시한 새로운 시뮬레이션을 실행한 유럽 당국은 첼야빈스크 충돌로부터 교훈을 얻었다.일반인들에게 창문으로부터 떨어져 있어야 하며, 토네이도 발생시 주어지는 충고와 유사하게-- 건물 안의 가장 안전한 장소에 있어야 한다고 경고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결정하였다.

 

 

정부 관계자들은, 만일 지구가 속도 28,000mph (시간당 45,000 km)로 이동하며 크기 39피트에서 125피트 (12-38 m) 사이의 소행성에 의해 위협을 받는다면, 무엇을 해야 할지 검토했다. 유럽우주기구(ESA) 및 유관 경고 기관들은 언제 어디로 소행성이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지, 어떤 충돌 여파를 예상할 것인지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신속하게 일해야 하며, 민간인 보호 기관들과 업무 조율해야 한다고 결정하였다.

 


"예를 들어, 예측한 소행성 충돌 전 대략 3일 이내에, 우리는 질량, 크기, 구성성분, 충돌 위치 등에 관한 상대적으로 정확한 추정치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유럽우주기구(ESA) 근지구물체팀의Gerhard Drolshagen이 같은 성명서에서 말했다. "이 모든 변수들이 직접적으로 충돌의 여파의 유형,에너지의 방출양, 그로 인해 행정당국이 취할 수 있는 가능한 대응방안에 영향을 줍니다."

 

 Space.com. All rights reserved.

 

 

 

 

 

 

<잠재적으로 위험한 소행성 (이미지)>

 

 

 

 

 

 

 

 

 

 

 

 

 

 

 

 

 

 

 

 

 

 

 

 

 

 

 

출처; 빛과 흑암의 역사